노로바이러스는 겨울철에 특히 자주 발생하는 장관계 바이러스로, 오염된 물이나 음식 섭취, 대인 간 접촉 등을 통해 쉽게 전파된다. 경상북도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겨울철(12~2월) 식중독 발생 사례가 18건에 달하며, 이는 전체 식중독 환자의 약 21%를 차지한다.
노로바이러스는 영하 20℃에서도 생존할 수 있어 추운 겨울철에 더욱 강한 전파력을 보인다. 특히 설 연휴와 같은 명절에는 가족이나 지인들이 모여 음식을 나누는 경우가 많아 감염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위생과 음식물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1. 노로바이러스의 주요 증상
노로바이러스는 감염 후 평균 12~48시간의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나타난다.
- 구토: 감염 후 빠르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어린이에게 많이 발생한다.
- 설사: 물처럼 묽은 설사가 하루에도 여러 번 발생하며 성인에게 주로 나타난다.
- 복통 및 발열: 복부 경련과 가벼운 발열이 동반될 수 있다.
- 탈수 증상: 심한 구토와 설사로 인해 입 마름, 어지러움, 소변량 감소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겨울철 건강을 책임지는 슈퍼푸드, 굴!
굴의 영양성분과 굴의 부작용, 주의사항 그리고 굴요리 매력찬 바람이 불어오는 겨울, 따뜻한 국물이 생각날 때 굴 요리는 어떠신가요? "바다의 우유"라 불리는 굴은 건강, 맛, 그리고 영양까지
f-im.tistory.com
2. 노로바이러스에 감영될 수 있는 상황
1) 오염된 음식 섭취
- 덜 익힌 굴, 조개, 새우 등 어패류 섭취 시 감염될 위험이 높다.
- 오염된 물로 세척된 채소, 과일 등을 섭취할 때도 감염될 수 있다.
2) 비위생적인 환경
- 조리 도구(도마, 칼 등)가 오염된 경우 감염 위험이 증가한다.
- 감염자의 구토물, 배설물에 노출되었을 때 전염될 가능성이 높다.
3) 집단생활 환경
- 학교, 병원, 요양원 등 밀집된 장소에서 전파가 용이하다.
3. 감염 위험이 높은 음식
- 생식 어패류: 굴, 조개 등은 반드시 85℃ 이상에서 1분 이상 가열해야 안전하다.
- 채소 및 과일: 오염된 물로 씻겨진 경우 바이러스에 오염될 수 있다.
- 가공 음식: 비위생적인 조리 환경에서 만들어진 음식은 감염 위험이 높다.
- 오염된 물 및 얼음: 끓이지 않은 물과 이 물로 제조된 얼음은 바이러스 전파의 주요 원인이다.
4. 노로바이러스 예방책
- 손 씻기: 화장실 사용 후, 음식 조리 전후에 반드시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어야 한다.
- 음식 조리: 어패류는 85℃ 이상에서 가열하여 섭취해야 한다. 채소와 과일은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은 후 섭취해야 한다.
- 환경 소독: 감염자의 구토물, 배설물은 즉시 락스 희석액으로 소독해야 한다.
- 개인 위생: 감염자는 증상이 사라진 후 2~3일간 음식 조리를 금하고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
- 안전한 물 섭취: 끓인 물이나 안전한 생수를 섭취하며 오염 가능성이 있는 물은 사용하지 않는다.
노로바이러스는 겨울철 식중독의 주요 원인으로, 전염력이 강하고 빠르게 퍼질 수 있다. 개인위생과 음식물 관리만 철저히 실천해도 감염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대중은 노로바이러스의 증상과 위험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예방 수칙을 준수함으로써 건강한 겨울을 보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명절이나 집단 모임에서도 모두가 안전하고 건강하게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독감의 증상과 예방 및 치료법, 그리고 예방접종가격
요즘 독감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주변에 독감에 고생하는 지인도 많거니와 독감에 걸리면 코로나보다 더 힘들다는 이야기가 들려오고 있다. 독감은 빠르게 전염될 뿐만 아니라 증상이 심해 일
f-im.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