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66

세계와 한국의 당뇨병 현황과 당뇨병이 치명적인 이유 국제당뇨병연맹(IDF)이 발표한 「2025 세계 당뇨병 아틀라스」에 따르면, 2025년 현재 전 세계 20~79세 성인 중 약 5억8,900만 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이는 성인 9명 중 1명꼴이다. 이 중 약 2억5,200만 명은 자신이 당뇨병을 앓고 있다는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2050년까지 당뇨병 환자 수가 약 8억5,3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상황도 심각하다. 2022년 기준, 30세 이상 성인 중 약 14.8%가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이는 약 533만 명에 해당한다. 이 중 65세 이상에서는 28%가 당뇨병 환자로 나타났다. 또한 30세 이상 성인의 41.1%는 당뇨병 전단계로 분류되어, 향후 당뇨병으로 진행될.. 2025. 4. 17.
지식(Knowledge)과 지혜(Wisdom): 앎을 넘어서 삶으로 이끄는 힘 인공지능이 인간보다 더 많은 정보를 다룰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다. 검색 한 번이면 거의 모든 분야의 ‘정보’는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즉 ‘정보’가 ‘지식’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지식=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에도 인간은 여전히 갈등하고, 실수를 반복하며, 방향을 잃는다. 그 이유는 지식만으로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가’를 알려주지 않기 때문이다. 이처럼 지식과 지혜는 유사해 보이지만 근본적으로 다른 개념이다. 본 글에서는 ‘지식’과 ‘지혜’의 차이를 어원과 철학 그리고 사례들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하고자 한다.1. 지식와 지혜의 어원적 차이: 정보 vs 통찰 지식(Knowledge)은 라틴어 gnosis, 영어 to know에서 유래되며, ‘외부 세계의 사실이나 .. 2025. 4. 17.
선크림-안티에이징과 피부 건강의 첫 걸음, 대한민국은 사계절이 뚜렷한 기후를 가진 국가로, 계절별로 자외선의 강도와 노출량이 크게 달라진다. 특히 봄부터 가을까지는 자외선 지수가 높고, 겨울에도 눈과 반사광을 통해 자외선이 지속된다. 이러한 기후에서는 매일 선크림을 사용하는 것이 피부 건강을 위한 기본 수칙이다. 최근에는 미국에서 한국산 선크림이 ‘사재기’ 현상을 일으키며 주목받고 있다. FDA의 일반의약품(OTC) 승인으로 관세에서 일부 제외되면서 글로벌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는데, 이것은 우리의 뷰티 제품이 지닌 우수한 기술력과 탁월한 효과에 기인한 것이다.✅ 선크림을 꼭 발라야 하는 이유 자외선은 피부에 다양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UVA는 진피층까지 침투해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파괴하여 주름과 피부 탄력 저하를 유발한다. ● UV.. 2025. 4. 16.
우리 사회의 인구 구조 변화와 시사점 우리나라는 현재 저출산, 고령화, 외국인 인구 증가, 1인 가구 확산이라는 인구 구조의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인구 수의 증감이 아니라, 경제와 복지, 교육, 주거 등 전반적인 사회 구조에 영향을 주는 핵심 요소다. 통계청의 「2024 한국의 사회지표」는 우리 사회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이 글에서는 주요 인구 관련 항목을 중심으로 통계와 그에 따른 분석을 제시하고, 향후 한국 사회가 대비해야할 사항을 살펴본다.1. 총인구 및 연령구조 변화 ✅  2024년 총인구: 5,175만 명 ● 0~14세: 549만 명 (10.6%) ● 15~64세: 3,633만 명 (70.2%) ● 65세 이상: 994만 명 (19.2%) ※ 2072년 전망: 총인구 3.. 2025. 4.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