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행복3 동양 철학자들의 ‘행복(幸福)’ 행복(幸福)은 우리 누구나 소망한다. 그러나 자본주의에 살고 있는 우리는 행복으로 가는 수단이 돈이라는 것을 지속적으로 생각하기도 하고 때로는 가장 합리적인 것인양 드러내놓고 말하기도 한다. 실시간 인테넷이나 기타 매체를 통해 세계인의 삶을 돌아볼 때도 현상적으로는 돈에 얽매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어떤 때는 행복이 돈이고 돈이 행복이 되는 주객전도(주객전도)의 현상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정말 그럴까? 수단은 수단일 뿐일 터인데, 그것이 목적이 되는 삶은 불행하지 않을까? 극단적으로 저승에서도 돈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인가? 성경에서도 “부자는 천국에 들어가기가 어려우니라 다시 너희에게 말하노니 낙타가 바늘귀로 들어가는 것이 부자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 쉬우니라”(마태복음 19:23.. 2024. 11. 1. 우리가 행복하기 위한 방법 우리는 지금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 있다. 이 사회에 산다는 의미는 칼 맑스의 말인 "견고한 모든 것은 대기 속에 녹아버린다."를 비틀어 표현하면 "견고한 모든 것이 자본 속에 녹아버린다.“로 바꿀 수 있을 듯하다. 그만큼 자본에 의해 우리가 믿고있던 가치들이 붕괴되고 있는 듯보인다. 즉 모든 것이 자본에 의해 측정되고 양적으로 변하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칼 맑스가 했던 이 말에는 과거의 견고한 것이 붕괴되고 다시 그 무엇이 그 자리를 굳건히 차지하고 또 붕괴되는 '창조적 파괴'라는 긍정적 전망이 깔려 있다. 따라서 이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불합리한 조건을 개선하고 넘어가기 위해 스스로 행복해지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행복해지기위한 방법 1. 눈치 보지말기 우리 문화에는 남.. 2023. 5. 4. 비교문화에서 행복해지기 눈치와 비교의 상관성 한국의 자살률은 2021년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10만 명당 22.3명으로 OECD평균의 2배를 넘는다. 아이러니하게도 과거 모두 가난했을 때는 상대적으로 자살률이 낮았다. 이것을 무엇을 의미하는가? 바로 우리 문화의 한 특성인 눈치와 관련이 있다. 긍정적 의미에서 눈치는 타인에 대한 배려이겠지마 부정적으로 보면 타인 때문에 자신의 일을 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 현상은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다는 MZ세대도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사회 곳곳에서 관찰할 수 있는데, 강남과 압구정 일대의 그 수많은 성형외과병원, 몸만들기 현상, 인스타그램에 올리는 이미지들이 그것을 대변한다. 물론 이 현상들은 자신을 드러내는 방법의 하나이지 타인에게 보여주려는 의미가 없다고 할 수도 있다. .. 2023. 4. 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