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능변형문제3 고려가요 <동동> 해설 및 해석, 그리고 수능변형 문제 1. 고려가요 의 해설 월령체(달거리)의 효시가 되는 노래로, 임을 여읜 여인의 애절한 정서를 각 달의 풍속과 함께 드러내고 있는 고려가요이다. 각 연의 주제가 통일되어 있지 않고 시상의 흐름이 일관되지 않고 있다. 민요풍의 형식으로 되어 잇으며, 후렴구의 '동동'은 북소리를, '다리'는 악기 소리를 흉내낸 의성어이다. 서사 : 에서 말한 대로 송도(頌禱-경사스러운 일을 기리어 축하함)의 노래로서 임의 복덕을 비는 내용이다. 이 노래가 궁중에서 불리어졌다는 사실로 미루어볼 때, 의식가의 절차를 갖추기 위해 후대에 덧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정월 : 고독과 임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했다. 해빙기에 냇가에 둥둥 떠내려가는 얼음 덩어리가 서로 엉키는 것에서 보며 자신의 고독을 노래하고 있다. 소박하고 단순한 표현.. 2023. 8. 23. 윤선도의 <견회요> 해설 및 해석, 그리고 수능변형문제 이 연시조는 윤선도가 30세 되는 광해군 10년에 권신(權臣), 이이첨의 횡포를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되었을 때 지은 것이다. 불의와 타협할 줄 모르는 그의 강직한 삶의 자세와 임금을 향한 변함 없는 충성심, 그리고 부모님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이 절실히 드러나 있다. 이 시의 제목의 ‘견회(遣懷)’란 ‘시름을 쫓다’ 또는 ‘회포를 품다’ 라는 의미로서 ‘견회요’는 ‘마음을 달래는 노래’라는 뜻이다. 첫째 연은 고산의 가치관을 그대로 보여 준다. 남이야 뭐라고 말하든 내가 할 일만 하면 된다는, 자신의 신념대로 행동하는 강직한 태도, 불의와 타협할 줄 모르는 정의감 등은 이러한 바르고 굳센 가치관이 없으면 불가능한 것이다. 둘째 연은 자신의 상소가 망령된 줄 알지만은 그렇게 한 것.. 2023. 8. 22. 이이의 <고산구곡가> 해설 및 해석, 그리고 수능 변형문제 1. 창작배경 율곡 이이가 43세때(선조 11년) 해주 석담(石潭)에서 은거하면서 고산구곡을 경영하며 은병정사를 짓고 후진 양성에 힘쓰고 있을 때, 주자(朱子)의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모방해서 지은 작품이라고 한다. 17세기에 와서 송시열을 비롯한 여러 주자주의 지식인들에게 계승되어 한역되기도 하고, '고산구곡'이라는 자연을 소재로 한 많은 한시가 창작되기도 하였다. 2. 표현의 특징 고산의 아홉 구비 골짜기(구곡)에 맞게 이홉 수의 시조를 배치하고 맨 처음에 이 시조를 지은 동기를 제시하고 있어 모두 열 개의 수로 이루어진 연시조이다. 각 수에 제재 역할을 하는 장소와 자연 경치를 제시하고 문답의 형식을 취하며, 자연의 아름다움이 잘 어우러져 있다. 또한 지명과 지명의 뜻풀이가 매치되는 중의적.. 2023. 8. 1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