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려가요 <동동>의 해설
월령체(달거리)의 효시가 되는 노래로, 임을 여읜 여인의 애절한 정서를 각 달의 풍속과 함께 드러내고 있는 고려가요이다. 각 연의 주제가 통일되어 있지 않고 시상의 흐름이 일관되지 않고 있다. 민요풍의 형식으로 되어 잇으며, 후렴구의 '동동'은 북소리를, '다리'는 악기 소리를 흉내낸 의성어이다.
서사 : <고려사악지>에서 말한 대로 송도(頌禱-경사스러운 일을 기리어 축하함)의 노래로서 임의 복덕을 비는 내용이다. 이 노래가 궁중에서 불리어졌다는 사실로 미루어볼 때, 의식가의 절차를 갖추기 위해 후대에 덧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정월 : 고독과 임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했다. 해빙기에 냇가에 둥둥 떠내려가는 얼음 덩어리가 서로 엉키는 것에서 보며 자신의 고독을 노래하고 있다. 소박하고 단순한 표현이기는 하지만, 고독한 여인의 심정에는 정답게 흘러가는 얼음덩이조차 질투의 대상으로 느껴지고 임 없이 지내는 자신의 외로운 처지가 잘 드러난다.
2월 : 연등일(2월 15일)에 높이 켜놓은 등불을 보고, 그것이 임의 모습이며, 그 임은 온 세상 사람들에게 존경받는 존재로 비유하고 있다.
3월 : 2월과 같이 임의 모습의 예찬한다. 3월이 지나면서 핀 늦봄의 진달래꽃과 같이 임의 인품이 아름답다고 예찬한다.
4월 : 계절을 잊지 않고 찾아오는 꾀꼬리와 자신을 찾지 않는 녹사(고려의 벼슬 이름)를 대조시키면서, 임에 대한 그리움에 사무친 화자의 임에 대한 원망과 한탄을 표현했다.
5월 : 수릿날(단오. 5월 5일) 아침에 장수를 기원하며 약을 드는 풍습을 통해, 임이 건강하게 오래 살기를 바라는 마음이 나타나 있다.
6월 : 임에게서 버림받은 자기의 신세를 한탄하고 있다. 유두일(6월 15일)이라 하여 신라 때부터 동쪽으로 흐르는 냇물에 가서 머리를 감아 불길한 것을 씻어버리는 풍습이 있었다. 이 노래는 유두일을 맞아 냇가에 나갔다가 아무렇게나 버려진 빗을 보고 임에게서 버림받은 자신을 한탄하고 있다.
7월 : 온갖 곡식과 과일을 차려놓고 기원을 올리는 백중날, 임과 함께 지내고 싶다는 화자의 간절한 소망을 빌고 있다.
8월 : 한가위(8월 15일)라 하여 우리나라에서 1년 중 가장 즐거운 명절이지만, 사랑하는 임이 없으면 하나도 즐거울 것이 없다는 것이다. 임이 없으면 곧 모든 것이 빛을 잃고 무의미해진다고 하여 임에 대한 연모의 정을 노래하고 있다.
9월 : 고독의 한을 노래하고 있다. 어느덧 중양절(9월 9일)이 되어 국화전을 해먹는다는 노란 국화가 집안 가득 피어났지만 임이 안 계시는 초가가 더욱 쓸쓸하고 외롭게만 느껴진다는 내용이다.
10월 : 빨간 보리수 열매를 따 먹은 뒤에는 꺾어 버린 나무와 같이 버림받은 자신을 임께서 영영 돌아보지 않는다고 하면서 한탄하고 있다.
11월 : 뼈를 깎는 듯한 그리움의 고통을 노래하고 있다. 추운 겨울에 맨 땅바닥인 봉당 자리에, 얇디 얇은 홑적삼 하나를 덮고 자는 것도 슬픈 일이지만, 그보다 더 서글픈 일은 사랑하는 임과 함께하지 못하고 헤어져 살아가야 하는 자기 신세가 참으로 기가 막히다는 것이다.
12월 : 이루지 못하는 애정, 뜻대로 되지 않는 세상임을 노래하고 있다. 자신은 분지나무로 곱게 다듬은 젓가락과 같이 표현하여 임의 사랑을 원했으나 님에게는 버림받고 다른 사람과 결혼할 수밖에 없는 운명을 비유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화자의 기구한 운명을 체념적으로 노래하고 있다.
2. <동동> 각 연의 구성 : 세시풍속과의 관련
월별 | 소재 | 주제 | 세시풍속 | 비 고 |
서사 | 덕, 복 | 송도 頌禱 | ||
1월 | 나릿믈 | 고독 孤獨 | 연등 | 자신의 처지를 자연과 대비(1, 4월령) |
2 | 등ㅅ불 | 송축 頌祝 | ||
3 | 욋곶 | 송축 頌祝 | ||
4 | 곳고리새 | 애련 哀戀 | 시적자아의 감정 전환.자연현상을 통해 임의 不在실감(2~4월령) | |
5 | 아 약 | 기원 祈願 | 단오 | |
6 | 빗 | 애련 哀戀 | 유두 | |
7 | 백종 | 연모 戀慕 | 백중 | |
8 | 가배 | 연모 戀慕 | 한가위 | |
9 | 황화 | 적요 寂寥 | 중양절 | 5~9월:자연의 순환에 동참하는 남들과 다른 자신의 외로운 처지 부각 |
10 | | 애련 哀戀 | 10~12:외부사에 관심을 끊고 자기 불행에만 빠져 들어감 | |
11 | 한삼 | 비련 悲戀 | ||
12 | 져 | 애련 哀戀 |
2023.09.20 - [수능문학] - 한시 <견흥> 해설과 해석, 그리고 수능 변형문제
2023.08.22 - [수능문학] - 윤선도의 <견회요> 해설 및 해석, 그리고 수능변형문제
2023.08.17 - [수능문학] - 이이의 <고산구곡가> 해설 및 해석, 그리고 수능 변형문제
2023.08.17 - [수능문학] - 김인겸, <일동장유가> 해설 및 해석, 그리고 수능변형 문제
'수능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시 '면면함에 대하여' 해설 및 해석 (76) | 2023.10.12 |
---|---|
한시 <견흥> 해설과 해석, 그리고 수능 변형문제 (1) | 2023.09.20 |
윤선도의 <견회요> 해설 및 해석, 그리고 수능변형문제 (0) | 2023.08.22 |
이이의 <고산구곡가> 해설 및 해석, 그리고 수능 변형문제 (0) | 2023.08.17 |
김인겸, <일동장유가> 해설 및 해석, 그리고 수능변형 문제 (0) | 2023.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