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세이

모란의 계절 봄, 기다리는 시간

by 지적인 사과 2025. 5. 8.
반응형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 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1930년대 엄혹한 시기에 윤동주 시인이 속삭였던 '슬픈 천명'을 지닌 시인 김영랑이 삼백예순날 기다리던 그 '모란'이 피는 계절이다. 꽃 중의 꽃이라고도 일컫는 모란을 아는 우리나라 사람은 몇이나 있을까? 안다고 하면 모두 교과서에 실려있는 이 시를 통해서 시어로만 아는 것은 아닐까?

그렇다면 시인이 읊었던 이 시를 통해 볼 때, 모란은 그렇게 삼백예순날의 긴 시간을 기다려야만 하는 꽃일까? 봄이면 헤아릴 수 없는 꽃이 자신의 자태를 드러내며 들녁에서, 집 밖 울타리에서, 집안의 정원에서 가득 피어나는데 말이다. 더욱이 봄 하면 순백의 자태를 수줍은 양 뽑내는 목련이 있지 않는가? 물론 목련의 죽음은 우리 인생과 닮아서 폭삭 말라서 죽어가지만 말이다. 또 하늘하늘 피어올라 그렇게 살포시 미소를 짓고 미풍에도 주변을 하얗게 물들이며 자신의 죽음까지도 잊지말라는 듯한 벚꽃도 있지 않는가? 여기에 추위를 견디면서 어느 꽃들보다 먼저 자태를 보여주는 동백꽃도 있지 않는가?  그 화려함은 모란에 비길만 하며 그 죽음도 처절하게 꽃봉우리를 떨구며, 한 이별한 연인이 저녁 어스름에 임을 잊지 못해 동구 밖에서 피눈물을 떨어뜨리며 기다리 것처럼 느껴지지 않는가? 이를 체험하려면 3월 중순, 전라도 고창 선운사에 가보아야 한다. 그러면 실제 이를 실감할 수 있으리라. 아니 시간이 없는 현대인이라면 '서른 잔치는 끝났다'고 외치던 최영미 시인의 시 '선운사에서'를 보라.  " 꽃이/피는 건 힘들어도/지는 건 잠깐 이더군/... 중략..../그대가 처음 내 속에 피어날 때처럼 잊는 것 또한 그렇게 순간이면 좋겠네" 얼마나 처절한가?

그런데 시인 김영랑은 수 많은 꽃 중에서 모란인가? 심지어 고향이 전라도 강진인 시인에게는 봄이 시작될 때마다 모란보다는 동백꽃을 더 많이 봤을 것으로 짐작되는데 말이다.   

 작년과 달리 금년에는 모란이 집 앞 정원에 하나둘 피기 시작했다. 한번도 제대로 보지 않은 모란을 작년 여름부터 인지한 결과다. 작년 봄에 몇 송이만 핀 모란을 여름에 전정을 했다. 한번 풍성한 모란의 꽃을 보려는 희망때문이었다. 또 엄마가 좋아하던 꽃이었기 때문이기도 했다. 꽃을 전정하며 내년에는 이를 통해 엄마를 볼 수 있다는 낭만적인 사념도 있었다. 

올해는 봄에는 많은 꽃 봉우리를 달고 있었다. 그 모란꽃을 보며, 김영랑 시인의 '모란이 피기까지는'이 문득 떠올랐고 왜 그 시인은 모란을 기다렸을까? 그것도 울면서 말이다. 여기에  모란이 지면 왜 "그뿐, 내 한 해"는 간다고 했을까? 의문이 들었다. 

 모란꽃을 가까이서 멀리서 바라보며 알았다. 그것은?  이 사진 속에 다 담겨있지 않지만 그 실체를 보리라.

이번 봄은 모란꽃에 빠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