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노동시간2 노동시간 유연화 정책의 모순 최근 정부가 주 노동 시간을 최대 52시간에서 최대 69시간(주 6일 기준)으로 연장하려는 정책을 시행하려고 하자 사회 곳곳에서 불협화음이 일어나고 있다. 그 처해 있는 상황마다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여론조사 결과로 볼 때, 찬성 40%, 반대 55.7%로 반대가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으며, 50대 이하 연령층에서 반대의견이 60%가 넘었으며, 직업군으로 볼 때, 학생군이 67.5%의 반대 의견을 냈다.('경향신문', 2023.1.1보도) 그렇다면 정부의 노동시간 연장정책을 합리적으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다른 나라와 비교를 통해 살펴보아야 한다. 따라서 다른 나라와 비교를 통해 정부의 노동 시간 유연화 정책이 이 시대에 맞는 정책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한 개별 사안.. 2023. 4. 3. 현대사회의 노동 착취의 실제와 대응 최근 한 공장 노동자가 빵 공장에서 샌드위치 소스 배합기에 끼어 사망한 사고가 뉴스에 보도되었다. 이는 피치 못할 우발적 사고였을까? 사실 사고가 일어나기 며칠 전에도 다른 노동자가 컨베이어 벨트에 손이 끼이는 사고가 일어났지만, 회사에서는 제대로 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회사는 그저 공장이 ‘문제 없이’ 돌아가는 데에만 급급했다. 노동자의 사전적 의미는 노동력을 제공하고 얻은 임금으로 생활을 유지하는 사람을 말한다. 이에 따르면 우리를 포함한 대부분의 사람이 노동자에 해당한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의 노동자는 근로자, 즉 사무직 직장인과 분리되어 사회적으로 하등하게 여겨지는, 저임금 고강도의 노동을 하는 사람이라는 인식은 물론 실제로도 노동의 강도와 함께 임금의 차별받고 있다. 세계인권선언 “모든 사.. 2023. 4. 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