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성폭력2 성폭력 인식을 통해 드러난 강간문화 경향 여성가족부는 2022년 3월부터 12월까지 19세 이상 64세 이하 남녀 1만여 명을 대상으로 '2022년 성폭력 안전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이 조사에서 우리나라는 강간문화 경향을 드러냈다. 강간문화란 성폭력이 만연하거나 그렇게 될 사회적 경향성을 일컫는다. 성폭력의 원인을 피해 여성의 옷차힘에서 찾는 등의 피해자 비난 문화가 강간문화의 대표적인 요소이다. '성폭력은 노출이 심한 옷차림 때문에 일어난다' - 설문 응답자 46.1% (남성 52.1%, 여성 39.7%) '피해자가 술에 취한 상태에서 성폭행을 당했다면 피해자에게 책임이 있다'- 설문 응답자 32.1% 1. 성폭력에 대한 잘못된 통념과 인식 성폭력의 피해를 피해자의 책임으로 돌리는 것은 피해자의 "정신적.신체적 손장을 가져오는 행위"로 여성폭.. 2023. 6. 23. 통계로 본 우리사회: 교제(데이트) 폭력 우리 사회의 교제(데이트) 폭력은 단순히 연인 간에 일어날 수 있는 사적인 일이라는 인식은 넘어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교제폭력으로 검거된 사람은 2016년 8367명에서 2022년 1만 2841명으로 늘었다. 이는 교제폭력이 가정폭력. 스토킹 범죄 등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범죄로 부상한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여성을 대상으로 한 폭력을 전염병과 같은 공중보건 문제로 규정했다. 사회적인 대응이 필요한 긴급한 문제로 세계보건기구도 본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교제폭력 방지법은 아직도 만들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교제폭력의 실상을 통계와 아울러 하루 빨리 교제폭력 방지법을 제정하여 미연에 예방하는 것은 물론 가해자에게 처벌을 강화하고 피해자를 보.. 2023. 5.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