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NS2 인간수치화 현상의 양면성 인간 수치화 현상 SNS 속 수치, 서비스업 종사자에 대한 평가, 얼굴과 학력 등에 점수를 부여하는 소개팅 앱은 인간간의 수치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처음 만난 사이에서는 SNS 계정을 묻는 질문이 오간다. 또한, SNS 친구 수와 반응 수가 많을수록 사회적 매력이 높고 보다 호감이 가는 사람으로 인식된다. 택시 기사, AS 서비스 기사, 은행 직원, 콜센터 직원 등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람을 만날 때 한 번쯤은 평점을 좋게 달라는 부탁을 받아봤을 것이다. 손님이 어떻게 자신들의 평점을 주느냐에 따라 임금이 달라지고 자칫하면 해고당할 수 있다. 실제로 한 택시 업체에서는 5.0 기준으로 한 달 평균 별점이 4.8 미만이면 서비스 교육을, 3개월 간 평균 별점이 4.8 미만이면 해고당한다. 이와 .. 2023. 4. 10. 비교문화에서 행복해지기 눈치와 비교의 상관성 한국의 자살률은 2021년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10만 명당 22.3명으로 OECD평균의 2배를 넘는다. 아이러니하게도 과거 모두 가난했을 때는 상대적으로 자살률이 낮았다. 이것을 무엇을 의미하는가? 바로 우리 문화의 한 특성인 눈치와 관련이 있다. 긍정적 의미에서 눈치는 타인에 대한 배려이겠지마 부정적으로 보면 타인 때문에 자신의 일을 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 현상은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다는 MZ세대도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사회 곳곳에서 관찰할 수 있는데, 강남과 압구정 일대의 그 수많은 성형외과병원, 몸만들기 현상, 인스타그램에 올리는 이미지들이 그것을 대변한다. 물론 이 현상들은 자신을 드러내는 방법의 하나이지 타인에게 보여주려는 의미가 없다고 할 수도 있다. .. 2023. 4. 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