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2023년 지역별 소득 순위 및 산업분표

by 지적인 사과 2024. 12. 24.
반응형

최근 통계청이 ‘2023년 지역별 소득통계를 발표하였다. 이 통계는 지역 간 경제 구조와 소득 격차를 심층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지역내총생산(GRDP), 지역총소득, 1인당 개인소득 등의 지표는 각 지역의 산업구조와 경제활동 수준을 반영하며, 이를 통해 지역별 경제적 강점과 취약점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소득 순유입·순유출과 산업별 기여도 분석은 정책적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1. 지역 총소득 상위 5개 지역

순위 지역 총소득(조원 1인당개인소득(만원)  주요요인
1 경기 660 2,810 제조업 중심, 대규모 산업 클러스터
2 서울 620 2,937 서비스업 중심, 금융·IT 강세
3 경남 127 2,277 제조업, 조선·기계산업
4 충남 110 2,365 석유화학·철강 등 제조업
5 경북 107 2,292 제조업, 농림어업 비중 높음

 

 

 

‘2024년 한국 부자 보고서’ 분석과 알아야 할 사항

KB은행이 최근 발간한 《2024 한국 부자 보고서》는 한국의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을 보유한 부자(46만 1천명)를 대상으로 그들의 자산 구조, 투자 성향, 미래 전략 등을 분석한 자료이다. 이 보고서

w-info.tistory.com

 

2. 1인당 개인소득 상위 5개 지역

순위 지역 1인당개인소득(만원) 주요요인
1 서울 2,937 서비스업, 금융 중심지
2 울산 2,810 제조업 비중 높음(석유화학, 조선)
3 경기 2,810 IT·전자 중심 제조업 강세
4 대전 2,649 공공 서비스와 R&D 중심
5 충북 2,416 바이오·전자산업

3. 지역별 총소득과 개인소득 분석

  • 경기: 제조업 강세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경제규모와 총소득 기록
  • 서울: 서비스업 중심으로 소득 순유입 효과가 두드러짐
  • 경남, 충남, 경북: 제조업 및 1차 산업 중심, 소득 순유출이 문제
  • 울산, 대전, 충북: 특정 산업 특화로 1인당 소득 높은 수준 유지

 

 

2024년 한국의 '행복지수' 순위 및 이유

우리는 얼마나 행복한 삶을 살고 있을까? 우리 사회는 진정으로 행복한 사회인가? 2024년 UN의 산하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가 매년 발표하는 ‘세계행복지수 보고서’를 보면 전혀 그렇

w-info.tistory.com

 

이번 자료는 지역 경제 구조와 소득 격차의 명확한 현실을 드러내며, 지역별 산업 특성과 성장 한계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특히 경기와 서울처럼 고부가가치 산업과 서비스업을 보유한 지역이 경제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순유출이 많은 지역은 소득 순환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각 지역의 잠재력을 활용한 맞춤형 정책이 중요하며, 균형 잡힌 경제 성장을 위한 혁신과 협력이 요구된다.

 

 

‘몽클레르’ 패러디로 본 강남 학부모의 소비 - 부르디외의 ‘아비투스’를 중심으로

여기저기 기웃기웃, 생각나는대로 적어가는 공간^^

hsang-gak.blogspot.com

 

 

 

2023년 우리나라의 사망원인 통계 분석

1. 통계 자료에 따른 흥미로운 발견 통계청의 최근 발표된 2023년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전체 인구 약 5,170만 명 중 총 사망자 수는 352,511명(0.68%)이다. 이는 전년 대비 약 20,000명 감

w-info.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