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당뇨병연맹(IDF)이 발표한 「2025 세계 당뇨병 아틀라스」에 따르면, 2025년 현재 전 세계 20~79세 성인 중 약 5억8,900만 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이는 성인 9명 중 1명꼴이다. 이 중 약 2억5,200만 명은 자신이 당뇨병을 앓고 있다는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2050년까지 당뇨병 환자 수가 약 8억5,3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상황도 심각하다. 2022년 기준, 30세 이상 성인 중 약 14.8%가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이는 약 533만 명에 해당한다. 이 중 65세 이상에서는 28%가 당뇨병 환자로 나타났다. 또한 30세 이상 성인의 41.1%는 당뇨병 전단계로 분류되어, 향후 당뇨병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다고 하겠다.
1. 당뇨병이 치명적인 이유
● 2024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연간 약 340만 명이 당뇨병으로 사망하며, 이는 6초에 1명꼴로 목숨을 잃는 셈이다.
● 당뇨병은 심부전, 말초 신경 손상, 시력 상실,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여 삶의 질을 급격히 저하시킨다.
● 2023년 기준, 전 세계 당뇨병 관련 보건의료 지출은 1조 달러를 돌파하였으며, 이는 17년 새 338% 증가한 수치이다.
당뇨병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
요즘 우리 주변에 단 것을 매우 많이 먹는 것 같다. 설탕은 온갖 음식재료로 사용되고 탕후루, 두바이초콜릿 등 달디 단 먹거리가 유행하면서 우리 몸에 미치는 당의 나쁜 영향 중 하나인 당뇨병
w-info.tistory.com
2. 당뇨병의 원인과 위험 식품
✅ 생활습관 요인
● 비만, 과식, 신체활동 부족
● 정제 탄수화물 위주의 식사, 고열량·고당분 섭취
✅ 유전적 요인
● 가족력에 의한 제2형 당뇨병의 발생 가능성 증가
✅ 사회경제적 요인
● 저소득 국가 거주자일수록 조기 진단 및 치료율 낮음
● 전체 환자의 81%가 저소득 및 중간소득 국가에 거주
✅ 위험 식품
● 흰쌀밥, 밀가루 제품, 설탕이 많이 함유된 과자류
● 트랜스지방이 많은 마가린, 쇼트닝, 패스트푸드
● 염분이 높은 간장, 장아찌, 젓갈류, 라면스프
당뇨병에 필요한 비타민 C
우리의 에너지원인 당을 섭취하면 기분이 좋아지고 생활에 활력이 생긴다. 그래서 우리의 말에 밥을 먹어야 힘을 얻는하다고 해서 ‘한국인은 밥심으로 산다’고 하는데 이때 밥은 ‘탄수화물
w-info.tistory.com
당뇨병은 단순히 혈당의 문제가 아닌, 전신에 영향을 주는 치명적인 만성질환이다. IDF의 보고서는 각국 정부가 보다 적극적인 조기 진단, 대중 교육, 예방 중심의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건강과 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콜릿(chocolate), 달콤함 속의 쓴 진실 (1) | 2025.05.09 |
---|---|
비타민, 하루 권장량과 섭취시간은? (0) | 2025.05.08 |
선크림-안티에이징과 피부 건강의 첫 걸음, (2) | 2025.04.16 |
샤워, 매일해도 괜찮을까? 피부 건강, 관건은 ‘방법’에 있다. (0) | 2025.04.02 |
건강에 좋은 걷기 방법과 효과 (1) | 2025.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