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73

통계로 본 우리 사회: 1인가구 우리 사회의 1인가구 인구비율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2022년 발표된 통계청자료를 통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1인 가구와 연령별 비중 2021년 1인 가구는 전체 가구이 33.4%인 716만 6천 가구이고, 연령별 비중은 29세 이하 19.8%, 70세 이상 18.1%, 30대 17.1%, 60대 16.4% 순으로 나타났다. OECD 주요국인 영국, 한국, 프랑스, 일본의 1인 가구 비중은 30%가 넘었으나 독일, 스위덴, 핀란드는 40%를 상회한다. (2022년 통계청 자료 참조) 우리나나라의 1인가구 년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2015년 27.2%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21년 33.4%로 증가하고 있으며, 2030년 35.6%. 2050년 39.6%일 것으로 통계청은 전망했다. 그러나 이 비율은 4.. 2023. 5. 10.
우리가 지켜야할 아름다운 우리 말 디지털의 발달은 우리의 언어체계를 바꾸고 있다. 간결하게 줄여 표현하는 것이 그것인데, 문제는 여기에 국적불명의 어휘를 합성하여 사용함으로써 언어가 지닌 본질적 목적을 훼손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무분별하게 외국어를 남용함으로써 우리말을 오염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듯이 그 나라의 어휘는 그 나라의 문화가 오롯이 담겨져 있는 그릇이다. 잊혀지는 우리 어휘를 살려나갈 때, 우리의 문화를 보존하는 것은 물론 우리의 정신을 지켜가는 것은 아닐까. 그래서 여기에 잘 쓰지 않지만 현재도 쓰면 좋을 우리말을 기록해 본다. 가온 : 세상의 중심 꽃잠 : 신혼부부의 첫날밤을 이르는 우리말 가온길 : 정직하고 바른 가운데 그린나래 : 그린 듯이 아름다운 날개 그린내 : 연인의 우리말 그린비 : 그리운.. 2023. 5. 10.
통계로 본 우리 사회 모습 : 혼인율 / 이혼율 대개 한 사회, 혹은 한 국가 단위로 그 사회의 문화, 그 국가의 국민성 등등으로 일반화시켜 인식하곤 한다. 그러나 모든 것이 변하듯이 그 일반화된 개념도 변하기 마련이다. 그 변화를 면밀하게 살펴봐야만 그 사회, 혹은 국가의 본모습을 알 수 있는 것은 물론 그 미래도 예측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통계를 통해 우리 사회의 단면을 엿보고자 한다. 2022년도 혼인율로 본 우리 사회 혼인건수는 19만 2천 것으로 전년대비 0.4% 감소, 2021년과 비교할 때 혼인이 가장 감소한 연령은 20대로 남자 8.4%, 여자 7.2%로 감소했다. 또한 남녀가 초혼인 부부는 전체 혼인의 77.4%, 남녀 모두 재혼인 경우는 12.3%를 차지했다. 평균 초혼연령은 남자 33.7세, 여자 31.3세로 남자는 0.4세 상.. 2023. 5. 6.
우리가 행복하기 위한 방법 우리는 지금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 있다. 이 사회에 산다는 의미는 칼 맑스의 말인 "견고한 모든 것은 대기 속에 녹아버린다."를 비틀어 표현하면 "견고한 모든 것이 자본 속에 녹아버린다.“로 바꿀 수 있을 듯하다. 그만큼 자본에 의해 우리가 믿고있던 가치들이 붕괴되고 있는 듯보인다. 즉 모든 것이 자본에 의해 측정되고 양적으로 변하고 있는 듯하다. 하지만 칼 맑스가 했던 이 말에는 과거의 견고한 것이 붕괴되고 다시 그 무엇이 그 자리를 굳건히 차지하고 또 붕괴되는 '창조적 파괴'라는 긍정적 전망이 깔려 있다. 따라서 이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불합리한 조건을 개선하고 넘어가기 위해 스스로 행복해지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행복해지기위한 방법 1. 눈치 보지말기 우리 문화에는 남.. 2023. 5.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