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활정보105 서양 철학자들의 '행복' 우리가 사는 이유를 가장 단순하게 설명하면 태어났기 때문이다. 내 의지가 작용하지 않은 삶의 시작이었지만 그 여정에서는 누구나 ‘행복’을 꿈 꾼다. ‘행복’이라는 추상적 어휘는 개개인의 삶에서는 다종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인류의 문명이 지속적으로 상방향으로의 변화였다면 그것은 개개인의 쾌락, 즉 행복이 성취된 결과로도 볼 수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개개인의 ‘행복’을 좀더 이해하고 자신이 추구하는 ‘행복’이 무엇인지를 인지하려면 선학(先學)들의 도움이 필요하다. 자본의 가치를 최고로 인식하는 우리에게 이들이 말하는 ‘행복’을 통해 자신추구하거나 지닌 ‘행복’을 성찰해 보자 1. 소크라테스 - “덕 있는 삶”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저서를 남기지 않았지만, 제자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변명》에서 그의 사상이.. 2024. 11. 9. 포브스 선정 "최고의 한국영화 30" 세계적인 경제 비즈니스 잡지인 포브스(Forbes)(2024년 9월 14일)가 1950년대부터 현재까지 외국인의 시각에서 ‘최고의 한국 영화 30’의 기사를 실었다. 그 기사의 중요한 부분을 번역해 외국 영화전문가가 바라보는 우리나라 영화에 대한 인식을 간접적으로 알아보자. ※ 출전 : 30 Great Korean Movies Worth Watching, , 2024.9.14 1.한국의 영화 산업 한국 영화 산업은 1950년대 중반 일제강점기가 끝난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시작되었. 1950~60년대에는 성장하고 번영하기 시작했지만, 1970년대에는 엄격한 검열이 있었다. 이후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산업이 회복되었고, 그 이후로 한국 영화 제작은 르네상스를 맞이하게 되었다. 최고의 한국 .. 2024. 11. 3. 붕어빵 먹는 부위와 성격의 상관성 겨울이 다가오면 올수록 우리 곁에 함께 오는 것이 길거리를 훈훈하게 만드는 군고마와 붕어빵이다. 어제 저녁 퇴근 길, 붕어빵 가게를 보면서 쓸쓸해진 거리를 조금은 추억에 빠지게 했다. 예전에 붕어빵을 먹으면서 친구들과 나눠던 얘기가 생각나 한토막 적어본다. 그 얘기는 다름아니라 붕어빵을 먹는 부위와 성격과의 연관성이었다. 생각나는 김에 글로 남겨본다. 그런데 작년 만큼 올 해도 붕어빵을 비쌀까 조금 걱정이다.1. 붕어빵을 머리부터 먹는 사람 붕어빵을 머리부터 먹는 사람은 주도적이고 강한 성격을 가진 경우가 많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확실히 알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열심히 노력한다. 미리 큰 그림을 그려보고 빠르게 목표를 추구하려 한다. 그렇기 때문에 결단력이 뛰어나며 새로운 도전이나 변화에 대해 두려움.. 2024. 10. 30. 그릭 (Greek) 요거트의 효능과 부작용, 유청 사용법, 만드는 방법(3) 예전 그릭요거트에 관심이 많아 그릭요거트 만드는 방법에 관해 인터넷에서 많은 정보를 얻었다. 대부분의 정보에서 집에 있는 도구를 사용해서 쉽게 그릭요거트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해줬으나 사실 그 방법이 가장 어려웠다. 예를 들면 전기 밥솥을 이용해서 우유를 플레인 요커트와 섞어서 데운 후, 8시간 지난 다음 천이나 면보를 이용해 유청을 빼주면 꾸덕꾸덕한 그릭요거트를 만드는 것이었다. 그런데 볼 때에는 쉬워보이는데 막상 해 보니 그만큼 번거러움이 없었다. 특히 유청을 뺀 후 남은 요거트가 면보에 달라붙어서 고생이 이만저만한 것이 아니었다. 그릭요거트를 쉽게 만드는 방법을 거듭 찾아 본 후, 가장 쉬운 방법은 온라인에서 도구를 구입해서 만드는 것이었다. 아직도 이 도구세트를 이용해 저렴하게 만들어 건강하게 .. 2024. 10. 27.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7 다음 반응형